기술 개요
• 본 기술은 저급 폐플라스틱으로 분류되는 폴리에틸렌 ((polyethylene) 및 폴리프로필렌 (polypropylene)의 분해 활성을 갖는 리시나바실러스종 JJY0216 (Lysinibacillus sp. JJY0216) 균주를 이용하여 친환경 공정을 통해 분해하는 기슐
- 미생물 배양을 통한 미생물 반응 및 분해 효소 기전에 의한 생분해 공정을 모두 포함
• 본 기술에서 제시하는 특허 균주는 기존에 보고된 플라스틱 분해능을 가진 미생물과 비교하여, 전처리 조건을 거치지 않은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을 분해하는 능력이 우수
- 향후 미생물 생분해에 의한 친환경 폐플라스틱 처리를 위한 원천기술로서 의미가 있음
주요도면/사진

기존기술 한계
• 난분해성 저급 폐플라스틱의 경우 매립 또는 소각을 통해 처리하고 있음
• 현재 알려진 플라스틱 생분해 미생물들은 전처리 공정 및 폐플라스틱 분해를 위한 특정 조건이 요구됨
개발기술 특성
• 저급 폐플라스틱으로 분류된 폐기물을 친환경 생물공정 기반 미생물 배양을 통해 처리 가능함
• 특허 균주의 경우 Polyehtylene(PE) 및 상대적으로 생분해가 매우 어려운 Polypropylene(PP)에도 분해 효과가 입증됨
기술적용 제품 및 활용분야
• 미생물을 이용한 석유유래 폐플라스틱(폴리에스터 및 폴리프로필렌)의 친환경 생분해 공정에 활용가능
• 폐플라스틱의 업사이클을 위한 폐플라스틱 기반 미생물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생산분야에 적용가능
• PE 및 PP 분해에 관여한 효소 규명을 통한 자연환경에서의 플라스틱 생분해 메커니즘 파악 후 향후 친환경 생분해 플라스틱 신소재 개발에 활용가능
국내외 시장동향
• 국내 폐플라스틱 발생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를 재활용하거나, 친환경 처리를 위한 기술 개발 및 투자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.
• Lysinibacillus fusiformis 및 Bacillus cereus 균주를 동시 배양하여 폴리에틸렌 생분해 연구가 보고되어 있음
• Bacillus toyonesis 균주에 의한 PET, PVC, PS, PP, PE 분해 활성이 보고 되었음
• Bacillus tequilensis 및 Enterobacter hormaechei 균주를 동시 배양하여 PET, PVC, PS, PC, PP, PE 분해 활성이 보고 되었음
• 국내 미생물에 의한 폐플라스틱 생분해 관련 선행 연구 또는 보고된 기술은 아직 존재하지 않으며 국외 관련 선행 기술이 일부 보고된 바 있음
기술완성도
• TRL 1 : 응용 및 개발을 위한 기초 원리가 확인, 보고된 단계
지식재산권 현황
•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신규 균주 및 이의 이용 ( 2020.11.06. / 10-2020-0148042 / 10-2394413 )
기술 개요
• 본 기술은 저급 폐플라스틱으로 분류되는 폴리에틸렌 ((polyethylene) 및 폴리프로필렌 (polypropylene)의 분해 활성을 갖는 리시나바실러스종 JJY0216 (Lysinibacillus sp. JJY0216) 균주를 이용하여 친환경 공정을 통해 분해하는 기슐
- 미생물 배양을 통한 미생물 반응 및 분해 효소 기전에 의한 생분해 공정을 모두 포함
• 본 기술에서 제시하는 특허 균주는 기존에 보고된 플라스틱 분해능을 가진 미생물과 비교하여, 전처리 조건을 거치지 않은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을 분해하는 능력이 우수
- 향후 미생물 생분해에 의한 친환경 폐플라스틱 처리를 위한 원천기술로서 의미가 있음
주요도면/사진
기존기술 한계
• 난분해성 저급 폐플라스틱의 경우 매립 또는 소각을 통해 처리하고 있음
• 현재 알려진 플라스틱 생분해 미생물들은 전처리 공정 및 폐플라스틱 분해를 위한 특정 조건이 요구됨
개발기술 특성
• 저급 폐플라스틱으로 분류된 폐기물을 친환경 생물공정 기반 미생물 배양을 통해 처리 가능함
• 특허 균주의 경우 Polyehtylene(PE) 및 상대적으로 생분해가 매우 어려운 Polypropylene(PP)에도 분해 효과가 입증됨
기술적용 제품 및 활용분야
• 미생물을 이용한 석유유래 폐플라스틱(폴리에스터 및 폴리프로필렌)의 친환경 생분해 공정에 활용가능
• 폐플라스틱의 업사이클을 위한 폐플라스틱 기반 미생물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생산분야에 적용가능
• PE 및 PP 분해에 관여한 효소 규명을 통한 자연환경에서의 플라스틱 생분해 메커니즘 파악 후 향후 친환경 생분해 플라스틱 신소재 개발에 활용가능
국내외 시장동향
• 국내 폐플라스틱 발생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를 재활용하거나, 친환경 처리를 위한 기술 개발 및 투자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.
• Lysinibacillus fusiformis 및 Bacillus cereus 균주를 동시 배양하여 폴리에틸렌 생분해 연구가 보고되어 있음
• Bacillus toyonesis 균주에 의한 PET, PVC, PS, PP, PE 분해 활성이 보고 되었음
• Bacillus tequilensis 및 Enterobacter hormaechei 균주를 동시 배양하여 PET, PVC, PS, PC, PP, PE 분해 활성이 보고 되었음
• 국내 미생물에 의한 폐플라스틱 생분해 관련 선행 연구 또는 보고된 기술은 아직 존재하지 않으며 국외 관련 선행 기술이 일부 보고된 바 있음
기술완성도
• TRL 1 : 응용 및 개발을 위한 기초 원리가 확인, 보고된 단계
지식재산권 현황
•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신규 균주 및 이의 이용 ( 2020.11.06. / 10-2020-0148042 / 10-2394413 )